자동차 부품기업 1000곳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2030년까지

매출 1조원 이상 기업 20개·1000만 달러 이상 수출 기업 250개로 확대

정부가 2030년까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해 국내 부품산업의 생산·고용·수출 규모를 유지·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매출 1조원 이상 부품기업을 2030년까지 20개로 확대하고, 1000만 달러 이상 수출부품기업도 250개로 확대하는 등 부품기업의 대형화·글로벌화를 집중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 사진 현대자동차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제11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 미래차 전환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이번 추진전략에는 완성차사 및 지원기관 등이 함께 부품기업의 전략수립, 기술개발, 자금조달, 사업화 등을 밀착 지원하는 미래차 전환 지원플랫폼 구축을 담고 있다.

이에 중앙부처는 ‘사업재편 지원단’을 확대·개편해 미래차 개발·구매계획 공유와 컨설팅·금융·판로·사업화 등을 일괄 지원하고, 지자체는 부품기업 사업재편에 대한 역할 강화를 위해 지역 대학·지원기관 등이 참여하는 특화지원 플랫폼을 만든다.

또한 완성차사 퇴직인력 20명과 공공기관 연구인력 등을 부품기업에 파견해 미래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부품 품목별 수요 전망을 제공하며, 부품기업의 미래준비와 신사업 진출을 위한 이종산업간 협력의 장을 확대해 나간다.

특히 민간 주도로 자율주행산업협회를 설립해 부품기업과 IT·서비스 등 이종 기업간 공동 R&D, 전략적 제휴, 표준화 등 협업을 촉진한다.

아울러 부품기업 희망 협력분야를 토대로 스타트업을 발굴·연계하는 스마트 브릿지(Smart Bridge)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소부장 협력모델을 통해 이업종 기업간 협력사업을 발굴·승인하고 R&D·금융·세제·인프라·규제완화 등 집중 지원한다.

◆ 자동차 부품산업의 사업모델 혁신 지원

부품기업들이 시장이 성장하는 분야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완성차사 신차개발 전략에 부합하는 부품·소재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하이브리드, SUV 전기차, 고효율 승용차 등 중견3사의 신차개발 전략과 연계해 중견3사 협력업체 특화 R&D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전기차·UAM·자율주행·연료전지 등 선도 완성차사의 미래 투자계획과 연계해 4대 분야 부품개발을 집중 지원해 시험·인증 기반을 만든다.

이와 함께 2·3차 협력사는 상생형 R&D 신설, 사업화 우대지원 등 인센티브를 통해 대형 부품기업과 공동 사업재편을 유도한다.

한편 완성차사의 공급망 내재화 계획과 연계해 국산화 전략품목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을 강화하고자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의 기술자립화를 지원한다.

또한 현재 70% 수준인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을 오는 2025년에는 95%로 제고하기 위해 올해 329억원의 자동차소재 R&D 예산을 투입한다.

더불어 차량용 반도체 양산성능 평가 및 기업간 협력모델에 대해서는 119억원을 지원해 공급망 내재화를 촉진하고, 자율주행 6대 핵심부품 국산화 및 고도화 분야에도 200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산업부는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특장차, 소형 전기화물차 등 틈새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차 부품 이외에 충전기·배터리 재활용 등 신사업 분야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특장차 전문 개조기업을 육성하고 공공기관 의무구매 대상에 포함해 공공수요를 창출하며, 중소 부품기업의 진출이 용이한 소형 전기화물차는 정부 구매보조금의 10%를 중소기업에 우선 배정해 초기 시장확보를 지원한다.

또 전기·수소 충전기 분야로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충전기 부품 국산화를 지원하고, 친환경 철도·항공·선박 등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의 국책 연구개발 사업에 차 부품기업의 참여를 촉진한다.

이 밖에도 글로벌 OEM 대상 마케팅 및 무역금융 지원 확대를 통해 차 부품기업의 글로벌화를 집중 지원하고, 정비업·주유소·제조 장비 등 자동차 연관 산업 생태계의 미래차 대응역량 강화도 올해부터 신규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 자금·기술·인력·공정 등 4대 지원수단 확충

산업부는 미래차 전환에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나 매출 발생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업계의 현실을 고려해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늘리기로 했다.

먼저 미래차 전환 설비투자 및 M&A 소요자금에 대한 저리융자 지원을 검토하고, P-CBO는 매출 감소 및 저신용 등급 중소기업의 지원한도 확대를 통해 미래차 전환을 위한 자금조달을 뒷받침한다.

또 5000억원 규모 미래차 펀드를 조성해 분사, M&A, 설비투자 등 사업재편 유형별 종합적인 자금지원을 추진하며, 미래차 분야에 설비투자 시 공장증설 없이도 외투·지투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사업재편 전용 R&D 신설 등을 통해 후발기업의 미래차전환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 사업성이 우수한 후발기업의 R&D를 지원하고 환경·안전규제 대응을 위한 공용부품 고도화 지원 등 미래차 역량 중급단계 기업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도 2022년부터 신규로 추진한다. 

이와 함께 기계·전자·SW 등 융합형 미래차 전문인력을 5년간 1만명 양성해 미래차 인력수요 3만 8000명의 약 1/4은 정부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공급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고급 연구인력은 부품기업 R&D부서 재직자 융합교육 등을 통해 5년간 3800명을 양성하며 현장인력은 5년간 6200명에 대해 융합기술 실무교육을 지원해 재직자 직무전환을 촉진한다.

한편 산업부는 부품기업의 데이터 활용 촉진 및 제조공정 개선 지원을 통해 부품산업 생태계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2년까지 3000개의 자동차부품기업에 스마트 공장을 보급하고, 전장부품 성능 데이터 및 미래차 운행 데이터를 축적·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부품 신뢰성 향상 및 신규 서비스 개발에 활용한다.

또한 차량 설계단계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해 디지털 설계환경을 구축하는 동시에 자동차부품산업 생태계 전반의 디지털 전환지원 종합전략을 3분기 중에 별도로 수립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US BUSINESS NEWS 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Dennis Han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