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위험인자 규명 등 치매연구 협력 강화…이르면 하반기 공동연구 착수

정부는 지난 22일 한미정상회담의 공동선언문 이행을 위해 바이오 분야의 한·미 협력을 위한 후속 조치에 본격 착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용홍택 제1차관이 ‘치매 극복 연구개발 사업단’을 방문해 효율적인 한미 간 공동연구 방안을 위한 현장 간담회을 열었다고 밝혔다.



정부는 치매 환자 증가율 50% 감소와 치매 극복 기술 글로벌 시장 점유율 5% 달성을 목표로 ‘치매 극복 연구개발 사업’(이하 치매사업)에 지난해부터 9년간 총 1987억 원(국비 1694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부터 치매사업단을 발족해 24개 연구개발 과제를 시작으로 치매의 예방, 진단, 치료 등 치매 극복을 위한 종합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치매사업단이 발족한지 8개월 만에 알츠하이머성 치매 원인 단백질의 연결고리를 밝히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인 ‘Progress in Neurobiology(IF 10.64)’에 발표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치매연구에 있어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치매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선도국과 연구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으며,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과의 치매 협력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치매사업단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IA)와 치매 빅데이터 기반의 정밀의료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미국 우성유전 알츠하이머 네크워크(DIAN)에도 참여하기로 했다.

현재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서는 치매사업단과 NIA, DIAN 간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하반기부터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

협력연구를 통해서 NIA가 보유한 다양한 치매환자의 데이터를 국내 연구자가 활용해 치매 위험인자 규명, 보호인자 발굴, 바이오 마커 진단기술 개발 등의 연구성과를 높이고 국제 치매연구 네트워크에 기여할 수 있는 치매연구 선도국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간담회에서 치매사업 단장인 묵인희 서울대 교수는 “치매는 모든 인류가 공통으로 겪는 문제인 만큼 국제적 협력을 통해 대응할 필요가 있는데 이번 미국과 협력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치매 연구 역량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번 협력 과제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새로운 주제를 발굴해 미국과의 협력연구를 강화해 주기를 부탁한다”면서 “과기정통부도 치매 극복을 위한 미국과의 공동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US BUSINESS NEWS 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Brian Kim 기자 다른기사보기